본문 바로가기

건강을 챙기자/건강상식6

안과 상식 - 사람의 눈이 2개인 이유는? Q. 사람의 눈이 2개인 이유는? A. 사람의 눈은 2개인 이유는 공간 속에서의 물체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합니다. 사람의 눈은 2개이며, 미간(눈과 눈 사이 거리)의 거리는 약 6~7㎝ 정도로 떨어져 있다. 그렇다면 사람의 눈은 왜 2개일까? -.- 사람의 눈이 2개로 미간(눈과 눈 사이 거리)의 거리만큼 두 눈동자가 떨어져 있는데, 두 눈은 서로 떨어져 있으므로 두 눈에 보이는 상은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로 인해 공간 속에서의 물체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즉 떨어진 상태에서 두 눈으로 물체를 보면 두 눈에 맺히는 물체의 영상은 서로 약간 다른데, 좌우 각각의 눈이 각각 다른 하나씩의 상이 2억개가 넘는 시세포를 가진 망막에 기록되면, 두 영상을 뇌가 합성하고 그 차이점을 해석해서 뇌는 .. 2016. 11. 17.
근시, 원시, 난시는 어떻게 다를까? 근시, 원시, 난시는 어떻게 다를까? 우리의 눈은 가까운 곳을 볼 때 수정체의 두께는 두꺼워지고 먼 곳을 볼 때는 수정체가 얇아진다. 눈에서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하여 원근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여 멀이 있는 물체를 보기도 하고 가까운 곳의 물체를 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데 안구의 길이가 길거나 짧으면 상이 망막에 정확하게 맺히지 못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근시나 원시가 된다. 근시나 원시 난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근시 근시는 가까운 곳의 물체는 잘 보이지만 먼 곳의 물체를 보는데 어려움이 있는 상태를 말하는데, 안구 앞뒤 길이가 정상 안구보다 길어 물체의 상이 망막에 바로 맺히는게 아니라 망막 앞쪽에 상이 맺히는 경우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여기에 해당되는데, 이럴 경우 오목렌즈로 교정.. 2016. 11. 17.